안녕하세요. 드디어 8월이네요^^
이번주 주제는 “행복”인데, 필사한 내용이 아닌 다른 행복을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우리는 깊은 고민없이, 추상적인 단어인 행복을 갈망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행복이 뭔데?? 라고 하면 몇 가지 이루고싶은 것들을 나열하곤 합니다. 그런 행복이라는 개념을 과학적으로 일깨워 준 책이 있는데 바로. 서은국 교수님의 “행복의 기원”이라는 책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행복의 기원”이라는 책의 행복에 대해서 말해볼까 합니다.
지금까지 우리에게 행복은 약 2,000년 전 그리스 시대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관념적인, 즉 ‘우리는 행복하기 위해 태어났다.’ 또는 ‘우리 삶의 궁극적인 목적은 행복이다.’ 등의 생각 혹은 가치로만 여겨져 왔습니다. 하지만 행복은 생각 혹은 가치가 아닌 본질적으로 감정의 경험입니다.
먼저 인간에 대해 냉철하게 바라 볼 필요가 있는데, 시간을 1년으로 압축한다면, 인간은 364일 22시간은 피비린내 나는 싸움과 사냥, 그리고 짝짓기에만 전념하여 살아왔습니다. 문명생활을 한 시간은 고작 2시간 정도 밖에 안되는 것이죠. 즉 인간은 100% 동물입니다.
동물의 모든 특성은 생존과 번식이라는 뚜렷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도구입니다. 다시한번 말하지만 모든 특성입니다. 인간이 현재 가진 신체적 모습과 생각, 감정, 이는 우연히 갖게 된 특성이 아닌 모두가 생존에 도움되기 때문에 보유하게 된 특성입니다.
즉, 인간은 생존을 위해 만들어진 동물이고, 생존하기 위해 필요한 상황에서 행복을 느껴야 했던 것 입니다. 행복감을 인간이 왜 느낄까에 대한 간결하고도 건조한 답은 생존. 그리고 번식입니다.
무엇인가 손에 쥐기 위해서는 그것을 찾으려는 노력이 필요하고, 또 그 목표물에 얼마나 접근했는지를 알려주는 신호가 필요합니다. 우리 뇌가 발생시키는 쾌감이 바로 그 두가지 기능을 합니다. 이것이 행복이라는 것이죠. 하지만 계속 행복감을 느낀다면 우리는 더 이상의 무언가를 찾지 않습니다. 그래서 제 기능을 하기 위해 본래값으로 되돌아가는 초기화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것이 적응이라는 현상이 일어나는 생물학적 이유입니다. 우리가 무언가를 이루었을 때 그 행복감이 잠시 머물다가 사라지는 이유인 것입니다.
책 한권을 대략적으로 압축하려니 내용이 좀 생략된 부분이 있는데, 실제로 이 책을 읽으면 행복이라는 단어를 관념적이 아닌, 이성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눈이 생깁니다. 저는 꽤 재미있게 읽었어요. 행복에 대한 내용을 필사하다가 갑자기 이 책이 생각나서 오랜만에 중요한 부분만 다시 읽었습니다. 방송에도 몇 번 나오신 것 같은데 관심있으시면 한번 보시는것도 재미있을 거라는 생각이 드네요.
<+ 앵무새 죽이기>
혹시 너무 좋아해서 여러번 읽은 소설책이 있으신가요? 저는 몇 가지가 떠오르는데 연금술사, 데미안, 위대한 개츠비 같은 책이 있고, 또 한권의 책이 이 책입니다. 하퍼 리의 앵무새 죽이기. 저에게 뚜렷한 인상을 주는 책을 읽고 싶어서 책장에서 꺼내 읽었습니다.
이 책을 처음 사서 맨 뒷장에 후기를 적은게 2009년 입니다. 이 책을 처음 읽을 때 20대 후반이었는데, 그때도 저는 이 책의 화자(어린소녀)의 아버지인 애티커스 같은 사람이 되고 싶다고 막연하게 생각했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다시 읽었는데 여전히 저는 애티커스 같은 아버지가 너무나 완벽한 아버지상이라고 생각됩니다. 어느 소설가에 의해 창작된 허구의 인물의 제가 존경하는 사람이 된다는게 신기할 정도로 저에게는 완벽한 사람이라고 생각됩니다.
이제 8월이 지나 조금 있으면 저녁에도 선선해지는 날씨가 되겠죠. 필사는 이제 2주만 더 글을 쓰고 마무리하려고 합니다.
그럼 이번주도 모두 즐겁게 보내셨으면 좋겠습니다.^^
히후님 재미있는 주제로 돌아오셨군요. ㅎ
행복이라는 감정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동물의 생존 본능에서 행복이 비롯되었다는 얘기는 무척 흥미로운 얘기입니다.
어쩐지 좀 삭막하다는 생각도 들고 말이죠. ㅋ
여기서 인간이 동물이 맞구나 하는 생각을 다시 하게 됩니다.
멋지고 고상한 척 하지만 인간도 어쩔수없는 동물이 맞구나 하면서요. ㅋ
행복을 이성적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좀 아쉽긴 하지만 그래서 더욱 행복에 너무 집착하지 말아야겠다는 이성적인 생각을 하게 되네요. 이제는 책이나 강연을 통해서 많은 사람들이 행복을 추구해야할 목표가 아닌 지금 이순간의 찰나의 감정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너무 애쓰지 않아도 각자의 행복을 느낄수 있는 포인트를 찾아가고 있다는 생각이에요.
저 역시 그냥 숨쉬고 있는 이순간이 행복합니다.
별일없음이 행복하구요. 예쁜 꽃과 하늘을 보며 행복감을 느끼는 행복 버튼을 항시 눌러놓고 있는거 같아요.
이렇게 행복 얘기를 할수 있으니 또 넘 행복하네요. 오늘 후기도 넘 감사했습니다. 히후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