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의 진정한 의미는 새로운 풍경을 보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눈을 가지는 데 있다.'


책을 보다보면 저자가 책 안에서 언급하는 또 다른 책들을 볼 때가 있습니다.
그중 특정 문구가 맘에 드는 책이 있거나 관심 분야의 책을 언급할 때 그 책이 몹시 궁금하다는 느낌을 많이들 받으셨을 거에요.
예전에 장정일선생님의 독서 일기라는 책(총7권) 몇권, 그리고 독서라는 책을 가지고 있었어요.
솔직히 그 책들을 다 읽지는 못했습니다. 흥미를 위해 쓴 책이 아니라 지루하기도 하지만 언급하신 책들의 내용을 모르니 그가 하는 말이 마음으로 와닿지 못한 이유도 있고 그의 심오함을 쫓아가지 못한 이유가 더 크다고 할수 있겠어요. 그래서 가끔 그 안의 책을 특정해 찾아 보기도 했지만 거의 절판되어 찾을 수 없는 책이 많았어요. 지금 그 책들은 제 손에 없지만 가끔 그 책을 지금 읽으면 내가 이해할수 있을까 하는 궁금증이 들기도 합니다.
읽지는 못해도 오래동안 소장하고 있었던 이유는 그런 책이 내 책장에 꽂혀있다는 허영심, 그리고 언젠가 그가 쓴 글의 일부라도 내가 이해할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희망이 내재해 있었기 때문이죠.
장정일님은 아주 독특할 이력을 가지고 있던 작가에요. 어릴적 가정 폭력이 있는 가정에서 자라나 청소년기에 자신 또한 폭력을 행사하다 소년원에 들어갔었는데 그곳에서 책을 많이 읽었다고 해요.
학력은 중졸에 불과하지만 그가 읽은 책의 양은 우리의 상상을 초월합니다.
공부라는 책은 자신이 읽은 책을 일기 형식으로 후기를 기록한 책이에요.
한달이면 25권 정도의 책을 읽을만큼 독서량은 어마어마합니다.(거의 매일 한권의 책을 읽는 셈이죠. 그렇게 읽은 책을 읽기 형식으로 기록한 책인데 몇 문장으로 간단하게 쓴 책도 있고 심오하게 비판하는 책도 있습니다.)
그 당시 책에 대한 허영심에 가득했던 저에게는 엄청난 자극이 되었고 마음속의 롤모델처럼 그의 책을 가지고 있었죠.
그의 후기는 시크하면서 날카롭습니다.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에 냉철한 이성이 장착되어 있습니다.
책을 읽기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았던 시기인 저에게 막연한 동경의 대상이었다고나 할까요. ㅋ(얼마나 읽으면 남을 비판할 정도의 시각을 가지게 될까 하구요)
그런 후기를 쓸 정도면 읽은 양도 양이지만 얼마나 많은 생각과 정리가 필요할까 하는 생각을 하면 너무 부러워 미치겠더라구요. ㅋ 사실 제가 부러워할 정도를 이미 넘어선 분이라 그렇게 말하는 것도 사치이지만요.
지금 그 책들은 제게 없지만 문득 이 책을 읽다보니 그 책이 떠올랐고 여기서 언급한 책들은 제가 읽은 책도 있고 아는 작가도 있어서 그리 어렵지 않게 읽혔습니다.
책을 읽다보면 책이 꼬리의 꼬리를 무는 식으로 책이 연결될때가 있어요. 그건 마치 내가 책속을 헤엄치는 기분으로 책의 우주에서 떠다니는 그런 기분이 들어 무지 행복합니다.
다음 책은 뭘로 할까.. 떠오르지 않을때는 그런 책을 하나 붙들고 뒤적입니다.
내가 읽고 작가가 읽은 책을 비교하는 일은 꽤 짜릿합니다. 나의 독서 세계를 가늠해보는 시간이 되어 무척 재미있는 놀이같이 느껴지거든요.
'여행자의 인문학'은 저자가 영국와 프랑스를 여행하며 작가의 생가나 그가 쓴 소설의 배경이 되는 곳을 따라 작가의 체취를 느껴보는 내용입니다.
폭풍의 언덕, 해리 포터, 셜록 홈즈 시리즈, 크리스마스 캐럴, 이상한 나라의 엘리스, 반지의 제왕, 세익스피어, 카뮈, 오스카 와일드.... 꽤 익숙한 책과 저자들이죠.
책과 저자 모두에 대해 깊이있는 내용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여행지를 꼼꼼히 본다는 정도로 훑어가는 책입니다.
그래서 책의 두께는 좀 되지만 금방 읽었습니다.
물론 안에 사진도 꽤 됩니다. 그래서 휙휙 넘어갑니다. ㅋ
사진을 보면서 내가 여행하고 있다는 착각에 빠지기도 하면서 재미있게 읽을수 있는 책입니다.
물론 해당 작가의 책을 한권이라도 읽었다면 말입니다.
'세익스피어 음모론'이라는 얘기가 나옵니다.
처음 들어보는 얘기라 너무 재미있었습니다.
물론 그의 출생과 사망 기록은 남아있지만 제대로 된 교육을 받은 적이 없는 그가 그렇게 주옥같은 문장을 만들었다는 사실에 의구심을 갖는 음모론자들의 이야기는 아직도 존재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의 작품속에서 언급하는 학교 얘기
로 그가 학교를 다녔다는 증거를 대는 사람도 있고요.
셰익스피어가 가상의 인물이라고 주장한 사람들이 진짜 셰익스피어로 꼽는 이들은 프랜시스 베이컨, 더비 백작, 옥스퍼드 백작, 에섹스 백작 등이 있으며 이에대한 다양한 가설과 추측이 존재합니다.
셰익스피어 실존론자들은 그가 오비디우스의 변신, 헤로이데스와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를 비롯해 호라티우스의 작품 같은 로마의 고전을 통해 어릴 적부터 연극에 눈을 떴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은 당시 어린 학생들이 라틴어를 배울때 사용하던 교재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 이후 셰익스피어의 교육은 이어지지 않았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는 이후 그당시 유행하던 유랑극단의 공연을 보면서 희극을 쓴것이 아닌가 합니다.
우리가 너무 당연히 인지하고 있던 셰익스피어의 존재에 대해 음모론자와 실존론자들이 양립하고 있다는 사실이 너무 신기하고 흥미롭습니다.
이런 소소한 에피소드와 작가들의 얘기를 가볍게 읽었던 한 주였습니다.
사실 폴 오스터의 책 중 안 읽은 책(낯선 사람에게 말 걸기)이 있어서 앞부분을 읽다가 포기했습니다.
사실 이 책도 오스터가 아는 작가에 대한 이야기를 쓴 책인데 그 작가들은 제가 잘 모르는 상태에서 그렇게 자세하게 읽는게 좀 고역이더라구요. 그래서 곶감 빼먹듯이 조금씩 읽어야겠다는 생각을 했고 다른 책을 보면서 조금씩 읽어나가려고 합니다. 가끔 이런 어려운 책을 읽는것은 내가 잘 이해를 못하더라도 나의 지적 허영심을 해소시켜주는 역할을 해서 아주 선호하는 책읽기입니다. ㅎ
좋은 주말 보내시길 바랍니다. 전 여행때문에 오늘 일찍 후기를 올립니다.^^
딸기님
제천과 원주 여행은 좋은 시간이 되셨는지 궁금합니다.
다행히 주말동안 비가 오지 않아 다니시기 편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
여행자의 인문학이라 제목이 좋네요
여행도 좋고 인문학도 좋고
책을 통해 알게 된 책을 꼬리에 꼬리를 물듯이 읽어 나가는 것도 재미있는 것 같습니다.
제가 좋게 읽었거나 감명깊게 읽었던 책들을
생각지도 못했던 책에서 만날때 더 반갑기도 하구요
책에 대한 허영심이 있다고 말씀 하셨는데
제이야기 인줄 알았습니다.
그런 이유로 제 책장에 꼽혀 있는 책이 여러권이 있습니다
날카로운 시선과 독특하면서도 설득력이 있는 견해들을 갖고 싶고 내재화 하고 싶고
때로는 지금은 이해하지 못하지만
내공이 쌓이면 언젠가는 이해할 수 있지 않을까 싶어서
소장은 하고 있으나 몇년째 들춰보지도 않고 있는 책들이 제 책장에도 존재하고 있습니다^^
저는 문학 보다는 비 문학 책을 선호 했는데 그 이유가
지적 허영심 때문이라는 것을 얼마전에 깨닫기도 했습니다.
거기에 더해 더 안좋은 버릇은
독서를 질 보다는 양으로 승부를 보는 것입니다.
그냥 내용을 파악하고 제대로 이해하기 보다는
스토리를 파악하고 책장을 넘기는 것에 집착을 할때가 많습니다.
그래서 저에게는 여기가 그 안 좋은 버릇을 고칠 수 있는 좋은
기회의 장소 입니다. ^^
세익스피어의 음모론이 있는 이유는
그의 글이 그만큼 훌륭하기 때문이겠죠
저에게 세익스피어의 글은 제대로 읽어 본적이 없음에도
왠지 읽어 봤던 것 같은 착각이 들게 합니다 ㅎㅎ
세익스피어에게 대해 새로운 사실을 알게 되어
저 역시도 흥미롭네요^^
딸기님의 책에 대한 애정을 엿 볼 수 있는
재미 있는 후기글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세익스피어 음모론이 있군요.
딸기님을 통해 많은 것을 알게됩니다.
프랑스와 영국을 여행하며 작가의 생가나
소설속 배경지를 찾아가는 여행의 책이군요.
사진도 많다고 하니 저도 한번 읽어보고 싶습니다.
저는 아이 초등 6학년때 런던과 파리를 2주정도
여행 다녀왔었는데, 그때의 여행기억은
온가족에게 "행복"으로 남아있거든요.
그래서 저희가 갔던 여행지에 대한 책이나
TV 프로그램을 보면 그 장소가 더 특별해 지는
느낌입니다.
유럽은 뭔가 감성이 낭만적인것 같아요.
그래서 그곳에서 예술가가 많이 탄생했을까요?
세익스피어가 희극을 많이 쓴것이 유랑극단의
공연을 많이 본것때문일것 같다 하셨는데,
그 당시 공연을 못봤다면 지금의 세익스피어 작품이 나오지 않을수도 있겠어요.
공연을 말씀해 주시니 어제 본 뮤지컬 생각이
납니다.
저는 작년쯤 공연보는 밴드에 가입을 해서
공연정보를 보곤하는데, 어제 토요일에
남편과 헬스 다녀오고 늦은 점심을 한가하게
먹으면서 공연밴드를 열어보니 대학로에서
하는 락뮤지컬 무료초대하는 글이 있더라구요.
선착순 10명.
남편한테 갈거냐고 물어보니 할일도 없는데
가보자고 허락을 하더군요.
잽싸게 신청을 하고 얼마후 집을 나서서
대학로를 갔습니다.
제목은 '탐정 케이'라는 뮤지컬입니다.
작은 소극장 공연은 정말 오래간만이었고
배우들의 노래실력도 정말 좋았습니다.
이런 공연을 무료로 보다니...
배우들 한테 미안한 생각이 들정도로
열연을 해 주시더군요.
7시쯤 공연을 보고 나오면서 대학로를
둘러보니 작은 소극장에서 많은 공연들을
하고 있더군요.
저는 연극 뮤지컬을 결혼전 미혼때 보러
다녔고 결혼후에는 바빠서 볼 여유가 없었어요.
이제는 시간도 많아졌으니 공연도 보러
다녀야겠습니다.
참. 런던 여행때 뮤지컬 '라이온킹'과
'빌리 에리어트'를 봤었는데,
그 감동은 여행의 절반은 되었던것 같습니다.
딸기님 주말 여행 잘 다녀오시고
거기서 본 여러 이야기들도 들려주세요.^^
딸기님! 넘 반갑습니다.!
지난주에는 제가 처리해야할 일들이나, 다른 일정들이 많았었네요.
그리고 어제는 아버님 팔순잔치를 하게 되어서, 아침부터 챙겨서 나갔다가 집에 돌아오니 거의 12시가 다 되었는데 피곤하여 댓글을 남기지 못했습니다.
글은 어제 읽었지만요.!
이렇게 개인 일정을 감안하여 미리 올려주셔서 감사하기도 하고, 제가 죄송하기도 합니다.
공유해주신 책 사진만 보아도, 너무 힐링입니다. ㅎㅎ
저도 가끔 제가 좋아하는 느낌이 드는 사진들이 가득한 책을 사기도 합니다..^^!
꼭 글만 가득하지 않아도, 가지고 있고 싶은 그런 책들인 것 같습니다.
후기의 첫 문장부터 공감이 되어서, 핸드폰으로 댓글을 남기기에는 부족하겠다 싶었습니다.ㅎㅎ
한 책을 읽으면 저자가 남긴 다른 책들이 곱하기 몇 배가 되어, 책은 읽으면 읽을수록 읽을 책들이 따라잡을 수 없을 정도로 더 많아지는 것 같습니다.
혹시 송길영 박사님을 좋아하시는지요?? 저는 가사 노동등을 할 때 가끔 송길영 박사님 영상을 조회해서 틀어놓을때가 있는데요. 그만큼 그 분의 통찰력이나 사고가 신선하고 듣는 재미가 있다 생각했었습니다. 해당 시기에 영상을 다 보고 어느덧 들었던 이야기가 반복된다 싶을 때는 이제 이 시기 그분의 생각은 다 들은 것 같다 하고 한동안은 검생을 안하고 그렇게 되는 것 같습니다.
그러다 보니 이 분의 책은 더 안사게 되더라고요,,^^; 유튜브에서도 영상마다 중복되어 반복되는 말들이 있는데, 책을 굳이 사서 같은 말을 읽어야 하나,, 그런 것이었습니다.
그런데 지난주에 소규모 강연에서 제 앞의 송길영 박사님과 눈을 마주치며 끄덕끄덕 이야기를 들을 기회가 있었습니다.
오랜만에 박사님 이야기를 들으니, 절로 다시 세상 돌아가는 것이 실감이 나고 흥미로운 이야기도 많고 정말 재밌었네요.
문득 오래전에 이분한테 매료되었을 때, 이 분은 책을 추천해달라 하면 어떤 걸 추천해주실까?
하는 생각이 들었어서, 이 기회에 여쭤봤습니다.
그랬더니 하시는 말씀이, 정말 중요한 알갱이는 자신의 책에 다 들어있다는 것입니다.
블로그나 편하게 접할 수 있는 글이나 말이 아닌, 진수는 다 책에 써놓는다 하시더라고요.
자신의 책에 자신이 좋아하고 추천해주는 책들이 있으니 꼭 읽어보라고 하셨습니다.
개인적으로 제게 자신의 책을 읽어봤냐고 먼저 묻지 않으셨지만, 그냥 듣는 순간 뜨끔했습니다,,!
집에 오는길에 서점에 들려서, 바로 이 분이 말씀 하신 시대예보 시리즈 2권을 사왔습니다.
(이런 식으로 최근에 다 읽지도 못하면서 책이 하나 둘 씩 늘고 있어서, 무거운 맘 반, 기대 반인 심정입니다,.!)
"읽지는 못해도 오래동안 소장하고 있었던 이유는 그런 책이 내 책장에 꽂혀있다는 허영심, 그리고 언젠가 그가 쓴 글의 일부라도 내가 이해할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희망이 내재해 있었기 때문이죠."
이 말씀 듣는데, 또 주중에 있었던 김영하 작기님의 강연회가 생각이 났습니다.
김영하 작기님도 이 말씀을 똑같이 해주셨는데, 참 신기합니다..^^::!!!!
딸기님 덕분에 장정일 작가님을 알게 되었고,
또 그 분의 최동 학력은 중졸이나, 독력이 어마어마 하시다는 말씀에, 저희(제)가 지금 읽고 있는 토지의 김범석이 생각나기도 하네요. 김범석 역시 시골에 붇혀 보통 학교의 학력이었으나, 수준급의 책들로 내공을 쌓은 인물로 묘사되어서요.
재야의 고수들이 실제로도 많이 존재할 것 같은 느낌입니다.
여행자의 인문학 책 안에 상당히 수준높은 책들이 많이 있는 것 같습니다.
저는 저 책 목록 중, 폭풍의 언덕을 읽었고, 당시 중2 겨울방학이었는데.. 그 인상이 너무 강렬해서 아직도 기억에 남습니다.
(히드클리프의) 복수를 그런식으로 할 수도 있는 것이었다는 것이 충격이었고, 소설이란 이런것이구나. 작가란 이런것이구나. 하는 무언가 정말 폭풍의 언덕처럼 강렬한 인상을 제게 심어주었었습니다.
그리고 까뮈의 책들을 조금 읽었고요. 셰익스피어 등등.. 정말 저 짧은 언급만으로도 가야할 길이 멀고도 멀다.. 그런게 느껴집니다.! 셰익스피어의 이야기는 무척 흥미롭네요.^^! 약간.. 이전에 '타블로에게 진실을 요한다.' 하는 타진요의 옛날판 느낌인건지요,,!
어떤게 사실이라 제가 장담할 순 없지만, 이와 같은 일들이 벌어진다는 것도 사람의 심리를 대변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책 소개와 함께 재밌는 이야기를 많이 담아주셔서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제천 여행 잘 다녀오시고요..^^!!
감사합니다.
노트북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