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의 진정한 의미는 새로운 풍경을 보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눈을 가지는 데 있다.'


책을 보다보면 저자가 책 안에서 언급하는 또 다른 책들을 볼 때가 있습니다.
그중 특정 문구가 맘에 드는 책이 있거나 관심 분야의 책을 언급할 때 그 책이 몹시 궁금하다는 느낌을 많이들 받으셨을 거에요.
예전에 장정일선생님의 독서 일기라는 책(총7권) 몇권, 그리고 독서라는 책을 가지고 있었어요.
솔직히 그 책들을 다 읽지는 못했습니다. 흥미를 위해 쓴 책이 아니라 지루하기도 하지만 언급하신 책들의 내용을 모르니 그가 하는 말이 마음으로 와닿지 못한 이유도 있고 그의 심오함을 쫓아가지 못한 이유가 더 크다고 할수 있겠어요. 그래서 가끔 그 안의 책을 특정해 찾아 보기도 했지만 거의 절판되어 찾을 수 없는 책이 많았어요. 지금 그 책들은 제 손에 없지만 가끔 그 책을 지금 읽으면 내가 이해할수 있을까 하는 궁금증이 들기도 합니다.
읽지는 못해도 오래동안 소장하고 있었던 이유는 그런 책이 내 책장에 꽂혀있다는 허영심, 그리고 언젠가 그가 쓴 글의 일부라도 내가 이해할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희망이 내재해 있었기 때문이죠.
장정일님은 아주 독특할 이력을 가지고 있던 작가에요. 어릴적 가정 폭력이 있는 가정에서 자라나 청소년기에 자신 또한 폭력을 행사하다 소년원에 들어갔었는데 그곳에서 책을 많이 읽었다고 해요.
학력은 중졸에 불과하지만 그가 읽은 책의 양은 우리의 상상을 초월합니다.
공부라는 책은 자신이 읽은 책을 일기 형식으로 후기를 기록한 책이에요.
한달이면 25권 정도의 책을 읽을만큼 독서량은 어마어마합니다.(거의 매일 한권의 책을 읽는 셈이죠. 그렇게 읽은 책을 읽기 형식으로 기록한 책인데 몇 문장으로 간단하게 쓴 책도 있고 심오하게 비판하는 책도 있습니다.)
그 당시 책에 대한 허영심에 가득했던 저에게는 엄청난 자극이 되었고 마음속의 롤모델처럼 그의 책을 가지고 있었죠.
그의 후기는 시크하면서 날카롭습니다.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에 냉철한 이성이 장착되어 있습니다.
책을 읽기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았던 시기인 저에게 막연한 동경의 대상이었다고나 할까요. ㅋ(얼마나 읽으면 남을 비판할 정도의 시각을 가지게 될까 하구요)
그런 후기를 쓸 정도면 읽은 양도 양이지만 얼마나 많은 생각과 정리가 필요할까 하는 생각을 하면 너무 부러워 미치겠더라구요. ㅋ 사실 제가 부러워할 정도를 이미 넘어선 분이라 그렇게 말하는 것도 사치이지만요.
지금 그 책들은 제게 없지만 문득 이 책을 읽다보니 그 책이 떠올랐고 여기서 언급한 책들은 제가 읽은 책도 있고 아는 작가도 있어서 그리 어렵지 않게 읽혔습니다.
책을 읽다보면 책이 꼬리의 꼬리를 무는 식으로 책이 연결될때가 있어요. 그건 마치 내가 책속을 헤엄치는 기분으로 책의 우주에서 떠다니는 그런 기분이 들어 무지 행복합니다.
다음 책은 뭘로 할까.. 떠오르지 않을때는 그런 책을 하나 붙들고 뒤적입니다.
내가 읽고 작가가 읽은 책을 비교하는 일은 꽤 짜릿합니다. 나의 독서 세계를 가늠해보는 시간이 되어 무척 재미있는 놀이같이 느껴지거든요.
'여행자의 인문학'은 저자가 영국와 프랑스를 여행하며 작가의 생가나 그가 쓴 소설의 배경이 되는 곳을 따라 작가의 체취를 느껴보는 내용입니다.
폭풍의 언덕, 해리 포터, 셜록 홈즈 시리즈, 크리스마스 캐럴, 이상한 나라의 엘리스, 반지의 제왕, 세익스피어, 카뮈, 오스카 와일드.... 꽤 익숙한 책과 저자들이죠.
책과 저자 모두에 대해 깊이있는 내용을 다루는 것이 아니라 여행지를 꼼꼼히 본다는 정도로 훑어가는 책입니다.
그래서 책의 두께는 좀 되지만 금방 읽었습니다.
물론 안에 사진도 꽤 됩니다. 그래서 휙휙 넘어갑니다. ㅋ
사진을 보면서 내가 여행하고 있다는 착각에 빠지기도 하면서 재미있게 읽을수 있는 책입니다.
물론 해당 작가의 책을 한권이라도 읽었다면 말입니다.
'세익스피어 음모론'이라는 얘기가 나옵니다.
처음 들어보는 얘기라 너무 재미있었습니다.
물론 그의 출생과 사망 기록은 남아있지만 제대로 된 교육을 받은 적이 없는 그가 그렇게 주옥같은 문장을 만들었다는 사실에 의구심을 갖는 음모론자들의 이야기는 아직도 존재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의 작품속에서 언급하는 학교 얘기
로 그가 학교를 다녔다는 증거를 대는 사람도 있고요.
셰익스피어가 가상의 인물이라고 주장한 사람들이 진짜 셰익스피어로 꼽는 이들은 프랜시스 베이컨, 더비 백작, 옥스퍼드 백작, 에섹스 백작 등이 있으며 이에대한 다양한 가설과 추측이 존재합니다.
셰익스피어 실존론자들은 그가 오비디우스의 변신, 헤로이데스와 베르길리우스의 아이네이스를 비롯해 호라티우스의 작품 같은 로마의 고전을 통해 어릴 적부터 연극에 눈을 떴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은 당시 어린 학생들이 라틴어를 배울때 사용하던 교재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 이후 셰익스피어의 교육은 이어지지 않았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는 이후 그당시 유행하던 유랑극단의 공연을 보면서 희극을 쓴것이 아닌가 합니다.
우리가 너무 당연히 인지하고 있던 셰익스피어의 존재에 대해 음모론자와 실존론자들이 양립하고 있다는 사실이 너무 신기하고 흥미롭습니다.
이런 소소한 에피소드와 작가들의 얘기를 가볍게 읽었던 한 주였습니다.
사실 폴 오스터의 책 중 안 읽은 책(낯선 사람에게 말 걸기)이 있어서 앞부분을 읽다가 포기했습니다.
사실 이 책도 오스터가 아는 작가에 대한 이야기를 쓴 책인데 그 작가들은 제가 잘 모르는 상태에서 그렇게 자세하게 읽는게 좀 고역이더라구요. 그래서 곶감 빼먹듯이 조금씩 읽어야겠다는 생각을 했고 다른 책을 보면서 조금씩 읽어나가려고 합니다. 가끔 이런 어려운 책을 읽는것은 내가 잘 이해를 못하더라도 나의 지적 허영심을 해소시켜주는 역할을 해서 아주 선호하는 책읽기입니다. ㅎ
좋은 주말 보내시길 바랍니다. 전 여행때문에 오늘 일찍 후기를 올립니다.^^
세익스피어 음모론이 있군요.
딸기님을 통해 많은 것을 알게됩니다.
프랑스와 영국을 여행하며 작가의 생가나
소설속 배경지를 찾아가는 여행의 책이군요.
사진도 많다고 하니 저도 한번 읽어보고 싶습니다.
저는 아이 초등 6학년때 런던과 파리를 2주정도
여행 다녀왔었는데, 그때의 여행기억은
온가족에게 "행복"으로 남아있거든요.
그래서 저희가 갔던 여행지에 대한 책이나
TV 프로그램을 보면 그 장소가 더 특별해 지는
느낌입니다.
유럽은 뭔가 감성이 낭만적인것 같아요.
그래서 그곳에서 예술가가 많이 탄생했을까요?
세익스피어가 희극을 많이 쓴것이 유랑극단의
공연을 많이 본것때문일것 같다 하셨는데,
그 당시 공연을 못봤다면 지금의 세익스피어 작품이 나오지 않을수도 있겠어요.
공연을 말씀해 주시니 어제 본 뮤지컬 생각이
납니다.
저는 작년쯤 공연보는 밴드에 가입을 해서
공연정보를 보곤하는데, 어제 토요일에
남편과 헬스 다녀오고 늦은 점심을 한가하게
먹으면서 공연밴드를 열어보니 대학로에서
하는 락뮤지컬 무료초대하는 글이 있더라구요.
선착순 10명.
남편한테 갈거냐고 물어보니 할일도 없는데
가보자고 허락을 하더군요.
잽싸게 신청을 하고 얼마후 집을 나서서
대학로를 갔습니다.
제목은 '탐정 케이'라는 뮤지컬입니다.
작은 소극장 공연은 정말 오래간만이었고
배우들의 노래실력도 정말 좋았습니다.
이런 공연을 무료로 보다니...
배우들 한테 미안한 생각이 들정도로
열연을 해 주시더군요.
7시쯤 공연을 보고 나오면서 대학로를
둘러보니 작은 소극장에서 많은 공연들을
하고 있더군요.
저는 연극 뮤지컬을 결혼전 미혼때 보러
다녔고 결혼후에는 바빠서 볼 여유가 없었어요.
이제는 시간도 많아졌으니 공연도 보러
다녀야겠습니다.
참. 런던 여행때 뮤지컬 '라이온킹'과
'빌리 에리어트'를 봤었는데,
그 감동은 여행의 절반은 되었던것 같습니다.
딸기님 주말 여행 잘 다녀오시고
거기서 본 여러 이야기들도 들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