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부터 신입회원님들의 글이 올라오면서 이 곳에서 색다른 기운이 느껴집니다.
물론 이전에도 불만이 있었던건 전혀 아니지만 새로운 기운이 온다는 건 또다른 에너지를 주는 일이니까요.
어쨌든 즐겁다는 말입니다. ㅎ
이번주는 내내 강추위와 폭설로 겨울다운 겨울을 만끽하고 있네요. 집에 거의 콕 박혀 있다는 말입니다. ㅋ
젊을때는 더위를 못 참았는데 이제는 추운게 너무 싫어요. 그냥 싫은게 아니라 두려울 정도입니다. 그래서 걷기를 주로 하는 나의 운동 패턴을 헬스장으로 바꾸었습니다. 추운날에 자꾸 운동을 거르는게 걸려서 꾸준히 하기위해서는 어쩔수 없이 실내운동을 해야겠구나 싶더라구요. 그러니 꾸준히 할수있어 좋네요.
그래도 봄이 기다려집니다. 좋은 공기 마시며 길을 걷는 건 대체할게 없거든요.
13권에서는 학생들이 일제에 저항하는 얘기가 나옵니다. 학생운동에 대한 얘기는 간단하게만 알고 있는 터라 어떤식으로 어떻게 저항운동을 했는지에 대한 자세한 얘기는 몰랐었습니다. 그 어린 학생들이 어떤 생각으로 어떤 활동을 했을까 궁금했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20세를 전후해서 결혼을 했던 시절이라 학생들이 지금의 학생들과는 생각의 갭이 있을거란 생각이 들더군요. 성숙한 대접을 받으면 생각도 그렇게 되는게 아닌가 생각해봅니다. 교육이란 그런게 아닐까 하구요.
길상의 아들 환국과 윤국은 아버지의 영향을 받아서일까요.. 그들도 학생운동으로 붙잡혀가기도 하고 경찰에 쫓기는 김제생을 숨겨주기도 합니다. 이런 아들들을 길상이 알았다면 어떤 생각을 했을까요. 자신과 달리 아들들은 자신을 따라하기를 원치 않았을까요. 아님 대견해 했을까요. 아버지의 입장에서 김구 어머니처럼 감옥에 있는 아들을 자랑스럽게 생각하지는 못하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그건 너무 대단한 마음이라서요.
윤국이 감옥에 갇혔을때 선배 홍수관이 일본 경찰에 저항하는 장면은 너무 뭉클했습니다. 홀어머니를 모시고 사는 가난한 학생 홍수관. 졸업을 앞두고 어머니의 걱정을 마음에 두고도 조선의 비운함에 통곡을 하는 장면은 어른이 다 된 나를 몹시 부끄럽게 만들었습니다. 나라를 잃는다는 것은 우리가 상상만으로는 감히 느낄수 없는 그런거였을거란 생각을 합니다. 유교 교육을 받았던 세대였고 나라에 대한 생각이 목숨만큼 중한 사상이었으니 더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들지만 지금도 역시 나라 잃은 사람들이 어떤 대우를 받는 지를 생각하면 결코 단순한 일이 아니라는 것을 잘 알고 있지만 말입니다.
국민들의 저항하는 마음, 독립을 원하는 마음이 간절했기에 지금 이순간 우리가 이렇게 살고 있구나 하는 생각입니다.
조선과 일본을 비교하는 이야기가 나오는데 꽤 흥미로웠습니다.
용하(명혜 남편)가 명빈을 초대한 자리에서 찬하가 한 말입니다.
"결핍과 잉여상태, 결핍이 오늘 일본을 강국으로 만들었고 잉여상태로 하여 조선은 망했다."
"앞으로 일본은 더욱더 강국이 될 거란 말입니다. 계속하여 뭉쳐질 거란 말이지요. 개개인의 결핍은 전체를 풍요하게 하고 개개인의 풍요는 전체를 결핍으로 몰아넣고."
일본인을 부인으로 둔 찬하의 말입니다.
스스로를 애국자가 아니라고 하면서 일본보다 조선이 정신적인 면, 문화적인 면에서 우위에 있기 때문에 일본은 결핍이며 조선은 잉여 상태라고 주장합니다.
사실 이런 얘기는 여러 책이나 미디어에서 접한 적은 있지만 이것이 우리 입에서 나온 말이기도 해서 객관적으로 맞는 말일까 하는 의구심이 있었기도 했습니다. 물론 제 눈에도 문화적으로 우리가 앞서있다는 생각을 하고는 있지만 그런 생각이 팔이 안으로 굽는 식의 사고 방식이어서 그런것인지에 대한 생각인가 싶어 확신이 없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애국자도 아니고 부인인 일본인인 찬하가 이런 말을 하는것이 놀랍기도 하고 그 말에 무게가 실린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물론 작가의 시점이기도 하지만 얼토당토하게 없는 이야기를 지어낸것은 아닐거라는 생각은 합니다.
사람도 그렇죠. 결핍이 있는 사람이 더 간절한 법이니까요.
그런데 그것이 문화적인 측면에서 말을 하니 좀 신선하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요즘 들어 우리의 문화가 세계적으로 인정을 받는걸 보면 어쩌면 이말이 맞는 말일수도 있겠구나 하는 확신 가까운 생각도 들었습니다.
요즘 정말 믿기 어려울 정도로 우리 문화에 대한 해외의 관심이 대단하다는 걸 느끼면서 이거 실화야?하는 생각 많이 하거든요. ㅎ
토지는 등장 인물도 많고 그들이 쏟아내는 얘기도 다양해서 많은 생각과 얘기를 할 수 있어 좋습니다.
무슨 종합세트를 만난 기분이랄까 뭐 그런 겁니다. ㅎ
이젠 중반을 넘어서 후반으로 달려가는 여정이고 보니 시원하기도 하고 섭섭하기도 하네요.
또 언제 이런 대하소설을 볼까 싶어서요.
삼국지로 시작해서 토지로 이어지는 우리의 여정에 가슴 뿌듯합니다.
이런 기회를 갖게 되어 새삼 행복한 마음입니다. 모든 회원님들 감사해요.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