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번주에 글을 올리고 벌써 일주일이 지났네요. 말머리를 좀 고민했는데, 독서보다는 필사에 좀 치중되어 있는 것 같아서 일단은 제목만 넣었습니다. 필사가 끝나면 저도 제목을 넣을께요.
그간 저는 하루에 2~3장씩 꾸준하게 필사를 하고 있습니다. 글을 읽고, 글씨를 써보고, 쓴 글씨를 천천히 다시 들여다보고 있는 중이에요. 그리고 나라는 사람에 대해서도 함께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왠지 지금 제 시기에 꼭 필요한 일이라는게 직감적으로 느껴졌어요. 제가 이번주에 주로 필사한 부분은 ‘감정에 휘둘리지 않는다’ 인데, 여기서는 ‘화’가 주된 화두입니다. 그래서 저 자신의 ‘화’에 대해서 들여다보고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이렇게 제 자신에 대해 깊에 생각해보려고 시도한게 너무 오랜만인 것 같아요. (예전에 군대있을 때 쓴 일기를 보면, 저 자신에 대해 거의 박사논문 급으로 써놨더라구요. 그때 참 저에대한 객관화가 잘 되었구나 생각한 적 있습니다.)
책을 덮어놓고, 마지막으로 누군가에게 화를 냈던 순간이 언제인지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가정에서나, 직장에서나, 친구들에게나 최근에 누군가에게 화를 낸 기억이 잘 떠오르지 않습니다. 그러고보니 어느 순간부터 저는 화를 잘 내지 않는 것 같습니다. 아니, 순간적으로 화가 날 때는 많은 것 같은데, 그걸 분출을 잘 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네 저는 화는 있지만 그건 입 밖으로 내뱉지는 않는 사람인 것 같네요. 어렸을 때는 꽤 상대방에게 화를 내고 했던 것 같은데, 근 10년안에 상대방에게 화를 낸 기억을 찾으려 시간이 꽤 걸리는 걸 보면 화를 입 밖에 꺼내지 않는 사람으로 되버린 건 확실한 것 같습니다.
그럼 저는 왜 화를 분출하지 않는(못하는) 사람이 되어 버린걸까요. 선천적으로 그렇게 태어난 것인지, 부모님의 영향을 받은건지, 아니면 커가는 환경에서 그렇게 자란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분명 화가 날 때가 있는데, 그걸 즉각적으로 반응을 하지 않는 스타일 인 것 같아요. 일단 침묵. 참을성이 있는건지, 어쩌면 좀 감정적으로 무딘건지도 모르겠습니다. 또 어쩌면 착한 사람으로 살고싶은 것일수도 있겠습니다만, 어쨌든 그 순간간 지나가면 또 아무렇지도 않게 되어버리는 걸 알기에 그냥 넘길 수 있는 것 같아요.
어쨌든 저는 앞으로도 이렇게 살 것 같습니다. 벼락을 맞지 않는 이상 제 성격이 변할 것 같지는 않거든요. 가끔가다가 자기의 감정을 숨기지 않고 시원하게 쏟아내는 사람들을 보면 내심 부럽기도 하지만, 그러다가도 예전에 상대방에게 화를 냈던 기억을 떠오르면 그 상황에 대한 후회와 상대방에 대한 미안한 감정이 같이 따라오거든요. 어떻게보면 그 뒤따라 오는 감정이 싫어서 분출을 안하는 걸 수도 있겠습니다. 그 순간에는 화를 내면 다 풀릴 것 같지만, 사실을 저를 더 힘들게 할 뿐이라는 걸 체득한 것 같아요.
결국 저는 그 순간이 지나면 아무렇지도 않다는 것. 화를 분출할 때 함께 오는 후회와 미안함이 싫은 것. 이 두가지 이유로 화를 내뱉지 않는 것 같습니다.
필사하면서 꽤 인상깊었던 구절이 있었는데,
“누군가가 화를 내며 당신을 공격해 온다면, ‘화’라는 독이 차려진 저녁식사에 당신을 초대한 것과 같습니다.
만약 당신이 냉정함을 잃지 않고 화내지 않는다면 화라는 이름의 요리를 먹지 않고 돌아갈 수 있습니다.
그렇게 하면 화를 낸 사람의 마음속에는 당신이 손도 대지 않은 독이 고스란히 남게 됩니다.”
너무나 당연한 것인데 새삼스럽게 깨달은 것은, 화는 아무 이유없이 생기지는 않다는 것입니다. 즉 화를 나게 만드는 무언가가 있다는 것이고, 이 무언가는 대부분 상대방이라는 한 인간일 수 밖에 없다는 것. 그리고 그런 상대방을 봤을 때 독이 차려진 음식이라고, 나는 먹지 않고 그냥 돌아가겠다고 생각하며 살아봐야겠습니다.
저는 이제 곧 준비해서 아이들과 캠핑수영장에 가야합니다. 정말 더울 같네요. 하하. 그럼 주말 잘 보내세요^^
희후님~ 안녕하세요.
희후님 글을 읽으니 마음이 차분해 집니다.
군대에서 자신에 대해 생각하시는 글을 그렇게 많이 쓰셨다니, 희후님은 어떤 분이실까?!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됩니다.
저는 몇 년 전부터 저라는 사람과 그 뿌리, 그리고 환경에 대해서 생각을 많이 하게 되는 것 같아요.
그럴때 마다 왜 이민진 작가님과 박경리 작가님이 그렇게 몇대에 걸친 소설을 쓰게 되었나. 하는 생각도 해보게 되고요.
누구에게 보여주지 않더라도, 일기 형식으로라도 그런 글을 저도 써보고 싶다는 생각이 드네요.
제가 생각하는 모든 것들이요.
그런 작업을 이미 20대 초반에 하셨다니, 내면의 단단함이 남다를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 순간에는 화를 내면 다 풀릴 것 같지만, 사실을 저를 더 힘들게 할 뿐이라는 걸 체득한 것 같아요."
결국 자기 자신을 위한 것이라는 것을 살아가면서 깨닫게 되는 것 같아요.
“누군가가 화를 내며 당신을 공격해 온다면, ‘화’라는 독이 차려진 저녁식사에 당신을 초대한 것과 같습니다.
만약 당신이 냉정함을 잃지 않고 화내지 않는다면 화라는 이름의 요리를 먹지 않고 돌아갈 수 있습니다.
그렇게 하면 화를 낸 사람의 마음속에는 당신이 손도 대지 않은 독이 고스란히 남게 됩니다.”
이 말은 저도 깊이 새기고 싶네요.
너무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주말에 정말 더웠지요??
저도 지난주 목요일부터 아이가 아파서 계속 가정 보육을 하고 있는데,
이렇게 더운 날씨에도 자꾸 밖에 나가서 같이 걷자고 해서 너무 힘드네요^^:
그래도 이게 다 행복인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노트북 드림.
희후님, 후기 글 잘 읽었습니다 ^^
처음 뵙겠습니다!
한 달 공백 기간을 가졌는데, 새로운 분이 계셔서 깜짝 놀랐습니다!
내공이 대단하신 것 같은데... 앞으로 잘 부탁드립니다👏
필사 저도 조금 해봤는데, 글을 읽어보니 제가 했던 것은 따라 쓰기에 불과했네요 ㅎ
희후님 하시는 것 보니까 나중에 제대로 다시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듭니다.
'감정에 휘둘리지 않는다'
제가 너무 배우고 싶은 자세입니다.
언급해 주신 '화'도 마찬가지이지만 의견을 얘기 할 때 조금 많이 흥분하는 경향이 있거든요 ㅠ
마음은 뜨겁게 머리는 차갑게 하라던데 감정을 다스린다는 게 정말 쉽지 않습니다.
10년 동안 화낸 기억이 없으시다니 ..
하다 못해 매일 아이들과도 전쟁이라.. 친절한 엄마가 되고 싶은 마음만 한가득이네요 ㅎ
자기 스스로에 대한 고민도 오랜 시간 해 오신 것 같고, 말씀대로 객관화가 잘되어 있으신 듯 해요.
군대 이야기에서 남자 분인 걸 알았고, 그 곳에서 일기를 쓰셨다니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희 신랑은 군대에 있을 때 무슨 수첩을 주는데 그곳에 (삐-)를 써놨다던데... 😂
자신에 대해 생각을 해본 적이 거의 없어서 문득 이런 점은 저도 배워보고 싶다는 생각이 드네요.
'화를 낸 사람의 마음속에는 당신이 손도 대지 않은 독이 고스란히 남게 됩니다'
내가 서있는 곳이 어떤 입장이든 화를 내는 것은 스스로에게 좋지 않다는 것을 다시 새겨듣는 시간이었습니다.
좋은 후기 잘 읽고 갑니다^^
히후님의 글을 읽고 있자니 저또한 마음이 편안해집니다.
저도 히후님처럼 화를 잘 내지 않는 사람이라서 히후님 글이 편안하게 읽혔습니다. ㅎ
어릴적 화는 언니와 옷 가지고 싸웠던 기억이 다고, 나이들어서는 남편의 행동때문에 났던것이 다 인것 같습니다. (그외에는 친구를 비롯해 누군가에게 화를 낸 기억이 거의 없는것 같아요)
아이들에게도 화를 낸 기억이 거의 없어요.
다들 믿지 않는데 정말 그래요. 아이들에게 소리 높여 말한 기억도 거의 없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신기하기는 하네요. ㅋ
아이들이 제 말을 잘 따라준 덕분도 있지만 제 안에 화가 많이 없다는 생각을 하게됩니다.
덕분에 지금도 딸들과는 잘 지내는것 같구요.
그런데 한편으로는 이게 딱히 장점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던 것이 왜 나는 다른 사람의 행동에 비판적이지 않을까 하는 의문이 함께 들기 때문입니다.
대부분 그냥 수용하는 쪽을 택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내가 너무 줏대가 없나 하는 생각을 한적도 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고 이런저런 책을 읽으면서 그리고 불교에 입문하면서 이런 저의 성격이 나쁜건 아니구나 하는걸 알게 되었습니다. 제 입장에서 보면 말이죠.
우선 화를 내면 내가 속이 상합니다. 그리고 흥분되고 기분이 나빠지죠. 그걸 회복하는데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립니다.
그리고 그화가 상대에게 다시 돌아가고 그럼 상대하고의 문제를 풀려면 또 에너지가 필요하고...이런 식으로 쓸데없는 곳에 에너지를 쓰고있다는 생각이 들면서 무지 허탈해집니다.
가끔 저도 화가 날때가 있었지만(거의 남편에게 ㅋ) 이제는 스님 말씀을 새겨들으며 이해하려고 합니다.
화가 나는건 내가 만든 상(생각) 때문이라걸 알게 되었거든요. 내 기준으로 상대를 보니 이해가 안되고 화가 나는 거죠.
그런 사실을 깨달으면서 제 마음이 편안해지고 좋아졌습니다.
이렇게 생각하는것이 내게 좋은 일이라는 걸 깨닫게 되었죠.
전 언제나 평화롭게 살고 싶은 사람입니다.(누구나 그렇겠지만요)
이렇게 살아도 짧은 인생인데 힘들지 않게 살고 싶은 마음이 큽니다.
오늘 히후님의 글을 읽으며 나의 모습을 돌아본 시간이 되었네요.
색다른 주제로 이야기하니 이또한 재미있네요.
필사의 느낌도 잘 전해주셔서 참 따뜻하게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히후님^^
안녕하세요 희후님^^
필사를 계속 하고 계시는 군요
바쁘신 와중에도 꾸준히 필사를 하시는 것은 그만한 이유가 있으시겠죠
그냥 눈으로만 읽는 것과는 달리 더 의미를 곱씹을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평소에 화를 잘 안내신다고 하시니 대단하십니다.
저도 마음의 평정을 유지하려고 늘 노력하고 있으나
운전중에는 그것이 잘 안되네요 ㅎㅎㅎ
인상 깊었다고 적어주신 구절이 저에게도 좋습니다.
상대방이 화를 내더라도 냉정함 유지하고 그것에 휘둘리지 않으면
그 화가 상대방에게 고스란히 남아 있는다는 것이
한편으로 생각하면 그 화를 내는 사람이 가족이라면
둘다 화라는 독을 품고 있지 않도록 풀어 줄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라는
생각도 해 보았습니다.
희후님의 후기글을 읽으면서 저는 스님께서 하시는 법문을 듣는 기분이 들까요
부처님 말씀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인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는 하는데
사실 태어나서 스님의 법문을 제대로 들어 본건 딱 2번 뿐이라 섣부른 생각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더운날씨 때문에 자칫 더 화가 나는 일이 많을 수도 있지 않을까 싶은 요즘이지만
스스로 독을 만들지는 말자 다짐해 봅니다
이번 한주도 시원하게 보내세요
다음 후기로 뵙겠습니다.
부처님의 말씀을 필사를 하시는군요.
저는 아직 필사는 해 본적이 없는데,
좋은 말씀을 필사를 하시고 자신이 적은 글을
다시 읽는 다면 좋은 말씀을 세번 마음에
새길수가 있겠네요.
필사하면 떠 오르는것이
3년전 저희 어머니가 돌아가실때
어머니는 독실한 불교신자셨고,
그래서 절에 49재를 올리게 되었는데,
저희 남편이 집에서 저희 엄마가 즐겨
읽으시던 금강경을 한지에 필사하여
주면서 마지막 제사를 올릴때
함께 올리라고 제게 준 기억이 있습니다.
저희 남편의 정성이 들어간 글귀를
엄마의 마지막 가시는 길에 보내드릴수
있어서 너무 좋았고 남편에게도 너무
고마웠습니다.
결혼후 남편의 착한 심성을
저희 엄마도 인정하며 고마워 해 주셔서,
남편도 엄마 마지막 가시는 길에
더 좋은곳 가시길 기원해 주었나 봅니다.
저도 좀더 나이들어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지면 좋은 글귀들을 필사해 봐야겠습니다.
미래의 제가 할 일 목록을 한가지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희후님~^^